풍산군부인(豊山郡夫人) 재사(齋舍)

안동시 풍산읍 수리 오례골

7세  전농정(典農正) 휘(諱) 득우(得雨)공의 배위(配位) 풍산군부인(豊山郡夫人) 풍산류씨(豊山柳氏) 재사(齋舍)이다.

봉례공(奉禮公) 재실(齋室)

안동시 풍산읍 상리 시묘동

8세 합문봉례(闔門奉禮) 휘(諱) 혁(革)공 재실(齋室)이다.

직산재(稷山齋)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186호
예천군 호명면 직산

9세 비안공(比安公) 휘(諱) 삼근(三近),10세 정헌공(定獻公) 휘(諱) 계행(係行)을 모시는 재사(齋舍)이다.

16세기 초⋅중엽에 창건된 후,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중수와 이건의 과정이 편액된 현판의 내용을 통해 자세하게 파악되며, 강당은 위치에 따른 위계의 표현하기 위하여 원기둥과 네모기둥을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고 기둥 위치에 따라 장식적인 익공과 낮은 위계의 민도리 구조를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어서 건축계획적인 의도를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평면형식, 보머리 가공 형식, 외기도리의 충량과 고미반자를 위한 직각보의 설치 등에서 조선초 형식이 계승되고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건축적 가치가 있는 점 등 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어야 할 가치가 있다 

역동재사(嶧洞齋舍)

안동시의 문화유산 제7호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

1734년경에 건립되었다.

개화기 이후 안동김씨문중에서 사설 신교육기관인 역동 의숙으로 사용한 건물로 강당이라고 불리기도 했으며 역동재를 짓기 전에는 청원루에서 신교육을 받았다.

역골의 산자락 끝에 배산하여 남동향으로 앉아 있는 역동재는 산자락을 방형으로 정지하여 그 중앙에 一자형 건물을 놓고 주위에는 기와지붕 판축 담장을 둘렀으며 정면 담장 가운데에 출입문인 사주문이 나있다.

지금의 건물은 건립 당시의 모습으로 보기 어려운 후대의 큰 특징 없는 구조양식을 보여주고 있으나 소산 마을의 역사 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장령공(掌令公) 재실(齋室)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

판관공(判官公) 휘(諱) 계권(係權)공의 5남 장령공(掌令公) 휘(諱) 영수(永銖)공의 재실(齋室)이다.

별묘사당(別廟祠堂)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

양소당(養素堂)에 있다.

1820년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정산(井山) 병관(炳觀)공이 세웠고 1880년 사간원(司諫院) 정언(正言) 장한(章漢)공이 수리하였다고 한다.

*병관--승의랑공(기보.극)파
*장한--병관공의 증손자

백야사(白冶祠)

홍성군 갈산면 행산리

백야장군의 생가터 기념관 뒤쪽에 장군을 모신 사당이 있다.

추양사(秋陽祠)

홍성군 서부면 이호리

애국지사 지산(志山) 휘(諱) 복항(福漢)공을 모신 사당이다. 1975년 홍성군에서 건립했다.

마곡서당(磨谷書堂)

안동시 녹전면 사신리

마곡서당은 선조 32년(1602년)에 사림들의 공론으로 눌재(訥齋) 휘(諱) 생명(生溟)공과 변계손을 비롯한 일곱 분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세웠던 서당이다.

19세기 초 마곡서원이 됐다가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됐다. 

1996년 국비지원과 문중의 지원으로 복원되었다.

강린당(講麟堂)

안동시 풍산읍 서미리

청음(淸陰) 휘(諱) 상헌(尙憲)공을 모신 서간사(西磵祠)가 순조때 사액(賜額)되었으나 고종7년에 훼손되었다.

후학들이 서미리에 강린당(講麟堂)을 짓고 공을 추모하였다.

1820년 안동부사 휘(諱) 학순(學淳)공이 쓴 편액과 영흥부원군 조근(祖根)공이 쓴 시가 게판되었다.

돈목당(敦睦堂)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

장사랑공(환)파 17세 돈수(遯臾) 휘(諱) 인보(仁輔)공의 강학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