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의정(領議政)  김흥근(金興根)


자는 기경(起卿) 호는 김유관(金游觀) 시호는 충문(忠文)이다. 김달행(金達行)의 증손 김이경(金履慶)의 손자이고 순조의 장인인 김조순(金祖淳)의 5촌 조카 이조참판 김명순(金明淳)의 아들 좌의정 김홍근(金弘根)의 아우이다. 어머니는 신광온(申光薀)의 딸이다.

1813년 증광시(增廣試)와 1825년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에 급제하여 검열 · 대교(待敎) · 겸보덕(兼輔德) · 이조참의 · 전라도관찰사 등을 역임하고 1837년에 동지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이조참판 · 규장각직제학 · 홍문관부제학 · 평안도관찰사 등을 거쳐 1841년에 형조판서가 되었다. 이어 대사헌 · 한성부판윤 및 공조 · 호조 · 예조의 판서와 규장각제학 ·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1846년에 좌참찬이 되었다.

1848년에 다시 예조판서를 거쳐 경상도관찰사가 되었으나 안동김씨의 권세를 믿고 방자한 행동을 하였다 하여 대간의 탄핵을 받아 전라남도 광양현에 유배되었다. 이듬해 헌종이 죽고 철종이 즉위하여 다시 안동김씨의 세도가 확립되자 유배에서 풀려나 한성부판윤으로 등용되었다. 이어 이조판서를 거쳐 1851년에 좌의정에 오르고 『헌종실록』 편찬 총재관(摠裁官)이 되었으며 이듬해에 영의정이 되었다.

판중추부사로 물러났다가 1862년에 이정청총재관(釐整廳摠裁官)이 되었고 1864년에 『철종실록』 편찬 때 지실록사(知實錄事)가 되었다. 이듬해 영돈녕부사로서 치사(致仕)하였다. 1848년 전라감사로 재직할 때 선정(善政)한데 대하여 도민(道民)들이 감사의 뜻을 표하기 위하여 전주에 송덕비(頌德碑)를 세워주었는데 그 비문 내용을 모아 엮은 『잡문(雜文)』이 있으며 1856년 순조대왕릉(純祖大王陵)을 천봉(遷奉) 할 때에 조대비(趙大妃)가 착어(着御)할 상복에 관한 대왕의 하순(下詢)에 응한 상소문(上蔬文)초고인 소지(所志)를 수급(受給)하였다. 순조비(純祖妃)인 순원왕후(純元王后)와는 매우 가깝게 지내 『순원왕후어필봉서(純元王后御筆封書)』에 김흥근 일가 등에게 보낸 한글 편지 33통이 남아 있다.

저서로는 『병진첩(丙辰帖)』 『유관집(游觀集)』 『유관잡록(游觀雜錄)』과 헌종과 효현왕후(孝顯王后)를 종묘에 부묘(祔廟)할 때 역대의 묘제(廟制)에 관한 고사와 학설들을 정리하고 소개한 책인 『신해조례고(辛亥祧禮攷)』 등이 있다. 지은 비문이나 상량문으로는 <윤석재시장(尹碩齋諡狀)> <서산서원비문(西山書院碑文)> <조풍은부원군신도비명(趙豊恩府院君神道碑銘)> <김응근묘갈(金應根墓碣)> <충경조공신도비명(忠敬趙公神道碑銘)> <교태전상량문(交泰殿上樑文)> 등이 있다.

필적은 순조비 순원왕후의 국상 때 존호를 올리는 일에 대한 질의(質疑)의 회답으로 추정되는 <서간문(書簡文)> 헌종~철종 대 학자들의 편지글을 모아 편집한 《간첩(簡帖)》 인조 대에서 고종 대에 활동한 인물들의 서간을 모아놓은 서간첩(書簡帖)인 《간독(簡牘)》에서 볼 수 있다.
순조(純祖) 13년(1813) 계유(癸酉) 증광시(增廣試) [생원] 3등(三等) 63위



유관집(游觀集)

저자 : 문정공(상헌)파  흥근(興根)

생(生) : 1796.09.15

졸(卒) : 1870.08.17

계유(癸酉)생원(生員) 을유(乙酉)문과(文科) 한각(翰閣) 영의정(領議政) 기사(耆社) 

조선후기 문신 김흥근의 시·소·의·기 등을 수록한 시문집
10권 6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집경위는 미상이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2에 시 권3·4에 소(疏)·차(箚) 권5·6에 주(奏)·계(啓)·의(議) 권7에 서(序)·기(記)·발(跋)·명(銘)·송(頌)·전(箋)·상량문 권8에 응제문·제문·비명·묘지명·묘표·잡저 권9·10에 가장·시장(諡狀)이 수록되어 있다.
시 126수는 대부분 자연이나 계절 또는 여행을 주제로 한 것이다. 「효현왕후만장(孝顯王后輓章)」을 비롯한 「춘첩(春帖)」·「연상(延祥)」 등 궐내와 관련된 시도 많다.
「연연구(硯聯句)」·「옥류천연구(玉流泉聯句)」·「소향연구(燒香聯句)」·「오동연구(梧桐聯句)」·「자명종연구(自鳴鐘聯句)」·「주연구(酒聯句)」 등의 연구는 시제(詩題)를 임금이 내고 여러 문신들이 한 구씩 짓는 방식을 취하였다.
어제(御題)와 이에 연달아 작구(作句)한 문신들의 이름이 부기되어 있다.주·계·의 등에는 당시의 시정을 논한 것이 많다.
「청장성진안대동군보허이전포계(請長城鎭安大同軍保許以錢布啓)」는 장성·진안 지방의 대동미와 군포를 돈 또는 포로 내게 해달라는 내용이다. 그밖에 당시의 국가적인 주요 사건과 행사에 대한 저자의 관심을 알 수 있는 자료들이 많다.
서에는 흰 꿩이 잡힌 것을 길조라고 칭송한 「백치서(白雉序)」 한 포기에 옥수수 16자루가 달린 것을 칭송한 「옥당서(玉䅯序)」 영흥 학계(學稧)의 결성을 기록한 「내원계서(來遠稧序)」 심을 논한 「인심도심도서(人心道心圖序)」 등이 있다.
기에는 평양의 「연광정중수기(練光亭重修記)」와 자기 소유의 정자에 대한 「일엽정기(一葉亭記)」 등이 있다.
김조순(金祖淳)의 문집에 대한 「풍고집발(楓皐集跋)」 박순(朴淳)의 문집에 대한 「사암집발(思菴集跋)」 「영남루중건상량문(嶺南樓重建上樑文)」 등이 실려 있다.
애책(哀冊)·옥책(玉冊)·친제문(親祭文)·사제문(賜祭文) 등 15편의 응제문(應製文)과 제문·비명·묘지명·묘표 등에서 저자의 정치·사회적 위치를 엿볼 수 있다.
잡저의 「완언(莞言)」에는 당시의 견문을 모았고 부록에는 저자에게 내린 「대교교지(待敎敎旨)」·「전라감사교서(全羅監司敎書)」 등의 교지·교서와 시호(諡號)를 내려달라고 임금에게 건의하며 생전의 행적을 적은 시장(諡狀)을 실었다.
안동김씨대종중
문정공(상헌)파
흥근(興根)
자(字)기경(起卿)
호(號)유관(游觀)
시호(諡號)충문(忠文)으로 임금을 섬김에 충절을 다함(事君盡節曰)을 충(忠) 이라
하고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묻기를 좋아함(勤學好問曰)을 문(文)이라
한다
생(生)1796년 병진(丙辰) 09월 15일
관직(官職)계유(癸酉)생원(生員)
을유(乙酉)문과(文科)
한각(翰閣)
영의정(領議政)
기사(耆社)
저서(著書)유관집(游觀集)
졸(卒)1870년 경오(庚午) 08월 17일
배(配)증(贈)정경부인(貞敬夫人)청송심씨(靑松沈氏)
생(生)1796년 병진(丙辰) 월 일
졸(卒)1838년 무술(戊戌) 01월 05일
묘(墓)포천시(抱川市) 일동면(一東面) 기산리(機山里) 소야(蘇野)
 표(表)는 영상(領相) 이경재(李景在)가 짓고(撰) 좌상(左相) 송근수(
 宋近洙)가 썼다(書) 전면(前面)은 판서(判書) 이시민(李時敏)이 썼다(
 書)
임좌(壬坐) 합폄(合窆)
 부(父)생원(生員) 능직(能直)
 조(祖)판서(判書) 풍지(豐之)
 증조(曾祖)군수(郡守) 증(贈)판서(判書) 구(銶)
 외조(外祖)김두칠(金斗七) 본(本) 광산(光山)

Warning: mysql_fetch_array(): supplied argument is not a valid MySQL result resource in /home/andong/www/vksrhks/php/person.php on line 562
20 세21 세22 세23 세24 세
달행(達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