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의정(領議政)  김병학(金炳學)


자는 경교(景敎) 호는 영초(潁樵). 김이직(金履直)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인순(金麟淳)이고 아버지는 이조판서 김수근(金洙根)이며 어머니는 조진택(趙鎭宅)의 딸이다. 철종의 장인인 영은부원군(永恩府院君) 김문근(金汶根)의 조카이다. 김준근(金浚根)에게 입양되었다.

1853년(철종 4) 현감으로 정시 문과의 병과로 급제 장령(掌令)·사간이 되었다. 1855년 성균관 대사성이 되고 이조참판 을 거쳐 예조판서가 되었다. 수원부유수로 잠시 나가있다 대사헌과 대제학을 제수 받았다.
한성부판윤으로 재직하다 형조 공조 병조 이조판서를 두루 거쳤다.

좌찬성을 거쳐 좌의정에 올랐다. 이 해 실록총재관으로 『철종실록(哲宗實錄)』을 편찬하고 조두순(趙斗淳)·이유원(李裕元) 등과 함께 찬집소총재관으로 『대전회통(大典會通)』을 완성하였다.

보수적인 척화론자로서 1866년 병인박해 때 천주교의 탄압을 적극적으로 주장하였다. 또한 병인양요로 민심이 흉흉해지자 흥선대원군을 권고해 당시 척화론을 주장하던 이항로(李恒老)를 승정원동부승지로 등용하도록 천거하였다. 영의정을 거쳐 1875년 영돈녕부사가 된 뒤 조일수호조약(朝日修好條約)의 체결에 극렬하게 반대하였다.

1879년 사망하기 직전에도 판부사 홍순목(洪淳穆)·한계원(韓啓源) 영의정 이최응(李最應) 좌의정 김병국(金炳國) 등과 함께 연차(聯箚: 연맹으로 왕에게 쓴 건의문)를 올려 일본이 요구하는 인천·원산의 개항 가운데 인천만은 서울의 백 리 안에 있으므로 결코 허락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였다.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문과] 헌종(憲宗) 15년(1849) 기유(己酉)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55위


안동김씨대종중
문정공(상헌)파
系子병학(炳學)
생부(生父)수근(洙根)
자(字)경교(景敎)
호(號)영초(穎樵)
시호(諡號)문헌(文獻)으로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묻기를 좋아함을(勤學好問) 문(
文)이라 하고 충성을 다하고 안으로 덕이있음(嚮忠內德)을 헌(獻)이라 한
다.
생(生)1821년 신사(辛巳) 06월 30일
관직(官職)기유(己酉)진사(進士)
계축(癸丑)문과(文科)
전문형(典文衡)
영의정(領議政)
저서(著書)유고(遺稿)가있다
졸(卒)1879년 기묘(己卯) 08월 15일
배(配)증(贈)정경부인(貞敬夫人)파평윤씨(坡平尹氏)
생(生)1819년 기묘(己卯) 월 일
졸(卒)1853년 계축(癸丑) 10월 03일
묘(墓)안산시 상록구 일동 구룡동(九龍洞) 본생선비(本生先妣) 신씨조(愼氏兆)
 다음 에서 도시개발로 묘를 발굴하여 아산시 권곡동 온양민속박물관으로 이전
 하여 가묘를 세웠다.
인좌(寅坐)
 부(父)군수(郡守) 희대(希大)
 조(祖)첨정(僉正)
 증조(曾祖)대사간(大司諫) 면승(勉升)
 외조(外祖)생원(生員) 조진실(趙鎭室) 본(本) 풍양(豊壤)
배(配)증(贈)정경부인(貞敬夫人)파평윤씨(坡平尹氏)
생(生)1838년 무술(戊戌) 월 일
졸(卒)1918년 무오(戊午) 05월 24일
묘(墓)안산시 상록구 일동 구룡동(九龍洞) 본생선비(本生先妣) 신씨조(愼氏兆)
 다음에서 도시개발로 묘를 발굴하여 아산시 권곡동 온양민속박물관으로 이전하
 여 가묘를 세웠다.
인좌(寅坐)
 부(父)집(鏶)
 조(祖)한규(漢圭)
 외조(外祖)진사(進士) 안선(安녵) 본(本) 죽산(竹山)
 우상(右相)양평공(養平公)흔(昕)후(后)
배(配)정경부인(貞敬夫人)성주이씨(星州李氏)
생(生)1840년 경자(庚子) 월 일
졸(卒)1928년 무진(戊辰) 02월 14일
묘(墓)안산시 상록구 일동 구룡동(九龍洞) 에서 도시개발로 묘를 발굴하여 아산시
  권곡동 온양민속박물관으로 이전하여 가묘를 세웠다.
 부(父)교상(敎尙)
 조(祖)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원용(元容)
 외조(外祖)진사(進士) 이욱(李꿝) 본(本) 우봉(牛峯)
 좌찬성(左贊成)공숙공(恭肅公)즙(楫)후(后)

Warning: mysql_fetch_array(): supplied argument is not a valid MySQL result resource in /home/andong/www/vksrhks/php/person.php on line 562
21 세22 세23 세24 세25 세
이직(履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