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안부원군(永安府院君)  김조순(金祖淳)


김조순(金祖淳)은 부사 김이중(金履中)과 신사적(申思迪)의 딸 평산신씨(平山申氏) 사이에서 1765년 장남으로 태어났다.초명은 낙순(洛淳). 자는 사원(士源) 호는 풍고(楓皐)이며 영의정 김창집(金昌集)의 4대손이며 할아버지는 김달행(金達行)이고 순조의 장인이다.

1785년(정조 9) 약관에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검열(檢閱)이 되고 초계문신(抄啓文臣)으로 발탁되어 강원도·황해도·함경도 지방의 수령·찰방 중에 겸사(兼史) 1명을 두어 그 지방의 민요와 풍속을 채록해 시정기(時政記)에 수록하자는 의견을 건의 실시하였다.

1788년 규장각의 대교(待敎) 때 당시 시·벽파(時僻派) 싸움에 중립을 지키며 당쟁을 단호히 없앨 것을 주장하였다. 1789년 동지 겸 사은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왔고 이어 이조참의·검교(檢校)·직각(直閣)을 거쳐 1800년 보덕(輔德)에 제수되었다.

순조 즉위 후 부제학(副提學)·행호군(行護軍)·병조판서·이조판서·선혜청제조(宣惠廳提調) 등 여러 요직이 제수되었으나 항상 조심하는 태도로 사양하였다. 1802년 양관 대제학 등을 거쳐 딸이 순조의 비(純元王后)가 되자 영돈녕부사(領敦寧府使)로 영안부원군(永安府院君)에 봉해지고 이어 훈련대장·호위대장 등을 역임하였다. 또한 선혜청제조로 있을 때 수효가 적은 친위병을 철폐된 장용영(壯勇營)의 군사로 충당하도록 하였다.

1814년 금위대장 1826년 양관 대제학이 되고 1827년 왕의 관서 지방 목욕 행차를 호종했다가 서하(西下) 지방의 민간 실정을 은밀하게 보고해 경외(京外) 각 아문의 절미(折米)·형정(刑政)·인사(人事)·대동미 등 어려운 실정을 정리하게 하였다. 그 뒤 실권있는 직책은 맡지 않고 제조직과 영돈녕부사로 있다가 죽었다.

어릴 때부터 기량과 식견이 뛰어났으며 성격이 곧고 밝아서 정조의 사랑을 받았다. 왕세자의 보도(輔導: 보필하여 인도함)를 맡았고 국구(國舅: 왕의 장인)가 된 뒤로는 왕을 보필해 군덕(君德)을 함양시키는 일에 진력하였다. 그러나 요직이 제수될 때마다 사양하는 것으로 보아 권세를 누리기 위해 노력한 인물은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시벽의 당파나 세도의 풍을 형성하지 않으려고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를 둘러싼 척족 세력들이 후일 안동 김씨 세도정치의 기반을 조성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문장이 뛰어나 초계문신이 되었고 비명·지문·시책문·옥책문 등 많은 저술을 남겼으며 죽화(竹畵)도 잘 그렸다. 저서로 『풍고집(楓皐集)』이 있다. 정조의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양주의 석실서원(石室書院) 여주의 현암서원(玄巖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충문(忠文)이다.





풍고집(楓皐集)

저자 : 문정공(상헌)파  조순(祖淳)

생(生) : 1765.08.23

졸(卒) : 1832.04.03

을사(乙巳)문과(文科) 전문형(典文衡) 영안부원군(永安府院君) 증(贈)영의정(領議政) 

조선후기 문신 김조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4년에 간행한 시문집.
16권 8책. 고활자본. 1854년(철종 5) 그의 문중에서 간행하였다. 『풍고집』 권두에는 철종의 어제(御製) 서문과 총목이 있다. 권말에는 정원용(鄭元容)·김흥근(金興根)·조두순(趙斗淳) 등의 발문이 있다.
내용은 권1∼6에 1 032수의 시 권7·8은 소차(疏箚) 60편 권9는 주(奏) 3편 계(啓) 2편 응제문(應製文) 14편 제문 20편 권10은 서(書) 36편 권11은 비명 5편 묘갈 10편 권12는 묘지 7편 묘표 4편 행장 3편 권13·14는 시장(諡狀) 12편 권15는 서(序) 10편 기(記) 8편 발(跋) 7편 잠(箴) 1편 명(銘) 5편 송(頌) 2편 찬(贊) 1편 전(傳) 4편 권16은 잡저 29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풍고집』 중에 문집의 3분의 1을 시가 차지하고 있다. 이 것으로 미루어 보면 김조순이 안동김씨 세도정권의 핵심인물이면서도 문학·예술 방면에 대한 남다른 취향과 소질을 나타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문학교류에 있어서 그는 비교적 당파나 신분 차이에 구속받지 않은 듯하다. 그러나 36편의 왕복서신은 주로 당시 요직에 있던 벌열계층(閥閱階層)들과 이루어지고 있다.
당시에 세도정권 내부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데에 자료가 된다.『풍고집』의 「서얼소통수의(庶孽疏通收議)」는 1779년 (정조 3) 영향력 있는 대신으로서 민심을 안정시키고자 조정에 건의한 것으로 보인다. 이 것은 서얼출신들이 지속적으로 벌여 온 집단적인 상소운동에 대한 정부의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었던 상황에서 비롯된 것이다.
『풍고집』 권16의 잡저 중에서 서화고동(書畫古董)에 관한 김조순의 남다른 감식안을 알아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술취향은 조선 후기인 18세기에 중국을 내왕하던 지식층간에 주요관심사항으로 등장하였던 것이다. 그의 경우도 예외가 아닌 듯하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안동김씨대종중
문정공(상헌)파
조순(祖淳)
구보(舊譜)낙순(洛淳)
자(字)사원(士源)
호(號)풍고(楓皐)
시호(諡號)충문(忠文) 으로 나라를 걱정하여 집안 일을 잊음(廬國忘家)을 충(忠)이
라 하고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묻기를 좋아함(勤學好問)을 문(文)이라
한다.
생(生)1765년 을유(乙酉) 08월 23일
관직(官職)을사(乙巳)문과(文科)
전문형(典文衡)
영안부원군(永安府院君)
증(贈)영의정(領議政)
저서(著書)풍고집(楓皐集)
 정조묘정(正祖廟庭)에 배향(配享)
졸(卒)1832년 임진(壬辰) 04월 03일
배(配)청양부부인(靑陽府夫人)청송심씨(靑松沈氏)
생(生)1766년 병술(丙戌) 02월 21일
졸(卒)1828년 무자(戊子) 08월 11일
묘(墓)이천시(利川市) 부발읍 (夫鉢邑) 가좌리(加佐里) 산五十六의二七 풍고(楓
 皐) 김조순(金祖淳) 묘역 경기도기념물二0七호
자좌(子坐) 합폄(合窆)
 부(父)정랑(正郞) 건지(健之)
 조(祖)군수(郡守) 구(銶)
 증조(曾祖)판서(判書) 택현(宅賢)
 외조(外祖)현감(縣監) 이윤언(李胤彦) 본(本) 완산(完山)

Warning: mysql_fetch_array(): supplied argument is not a valid MySQL result resource in /home/andong/www/vksrhks/php/person.php on line 562
19 세20 세21 세22 세23 세
제겸(濟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