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  김광욱(金光煜)


자는 회이(晦而) 호는 죽소(竹所). 김생해(金生海)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원효(金元孝)이고 아버지는 형조참판 김상준(金尙寯)이며 어머니는 이천우(李天祐)의 딸이다.

1606년 진사시에 제1인으로 합격하고 같은 해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에 배속되었다가 검열·대교·봉교를 거쳐 병조좌랑·정언·부수찬 등을 역임하였다.

1611년(광해군 3) 다시 정언이 되어 이언적(李彦迪)과 이황(李滉)의 문묘종사(文廟從祀)를 반대하는 정인홍(鄭仁弘)을 탄핵하였다.1613년 계축옥사에 아버지와 함께 연루되어 국문을 받았으나 곧 풀려났으며 1617년 폐모논의를 위한 정청(庭請)에도 참가하지 않아 삭직되자 고양(高陽)에 은거하였다.

인조반정 후 복관되어 1641년 황해도관찰사 한성부판윤 고산찰방(高山察訪)·고원군수(高原郡守)·판교(判校)·홍주목사(洪州牧使) 등을 역임하였다.

1633년(인조 11) 양서관향사(兩西管餉士)로 국가재정의 확보에 큰 공을 세웠다.

1641년 황해도관찰사로 나갔고 경직에 돌아와 병조참의가 되었으며 1644년 부승지 겸 세자빈객으로 세자를 모시고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도승지·병조참판·호조참판을 거쳐 경기감사로 나가 수원부사 변사기(邊士紀)의 모역사건을 밝혀냈다.

효종 즉위 후 개성유수에 보임되었으며 동지사로 다시 청나라에 다녀왔고 지중추부사 겸 판의금부사를 거쳐 우참찬에 올랐다. 문예와 글씨에 뛰어났으며 『장릉지장(長陵誌狀)』 을 찬하였다. 저서로는 『죽소집(竹所集)』이 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문과] 선조(宣祖) 39년(1606) 병오(丙午) 증광시(增廣試) [진사] 1등(一等) 3위


죽소집(竹所集)

저자 : 휴암공(상준)파  광욱(光煜)

생(生) : 1580.09.07

졸(卒) : 1656.04.24

병오(丙午)진사(進士) 병오(丙午)문과(文科) 한원(翰苑) 제학(提學) 빈객(賓客) 기사(耆社) 좌참찬(左叅贊) 

5권 2책. 활자본. 간행 연도는 미상이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부(賦) 7편 권2·3에 시 344수 권4에 소(疏) 18편 계사(啓辭) 12편 장(狀) 2편 권5에 응제표(應製表) 3편 전(箋) 6편 교명문(敎命文)·애책문(哀冊文)·반사문(頒赦文)·상량문·기우제문·제문 합 17편 갈명(碣銘) 2편 일록(日錄) 2편 보유(補遺) 4편 부록으로 묘지명 사제문(賜祭文) 1편 제문 5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뒤에 『청악유고(靑岳遺稿)』가 합록되어 있다.시는 대부분 풍경시·우탄시(憂嘆詩)·감상시·격려시 등이며 상황의 변화에 따라 그때그때 감정을 표현하였다. 또 천지자연의 무한한 변화에 인간 생활을 비교·반영하여 읊었다.
부 가운데 「검부(劍賦)」에서는 칼의 용도가 다양함을 설명하면서 그 중 제일 조심할 것은 무검(誣劍) 가장 두려운 것은 국검(鞫劍)이라 하고 그 사용의 정당성 여부에 따라 명분이 달라진다고 하였다. 이 글에는 사람이 처세하는 과정에 따라 성패가 좌우된다는 이치를 풍자한 뜻이 엿보인다.
「억우공부(憶禹功賦)」는 하우(夏禹)의 공적을 연모하면서 자신의 70평생을 회상하며 읊은 것이다.소의 「적몰전답오사변연명소(籍沒田畓誤査卞聯名疏)」는 저자가 적몰된 토지를 조사하여 보고한 것이 잘못되었다는 이론(異論)이 있자 이를 변론한 것이다.
계사 가운데 「백관종권계사(百官從權啓辭)」는 왕에게 직간한 것으로 선왕의 예규를 준수할 것 사사로운 인정에 끌려 국민의 억울한 일을 외면하지 말 것 거국적인 공론을 무시하지 말 것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종권재계(從權再啓)」는 국사나 사사를 막론하고 경우에 따라 권도(權道)를 행사하는 것이 처사에 정당성을 기할 수 있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당시 왕이 우유부단해 인사 행정에 미흡한 점이 있음을 지적하고 매사에 이치에 합당하고 예(禮)에 결함이 없으면 과감하게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의조적안률계사(擬趙賊按律啓辭)」는 옥사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공사를 구분하지 못해 사회에 물의를 일으킨 사례를 지적하고 대의명분에 입각하여 정당한 결단을 내려야 종사가 편안해진다는 내용이다.
장의 「세미회감장(稅米會减狀)」은 자신의 임지인 강음(江陰)의 입지적 여건을 설명하고 지역 주민의 생계에 대한 대책을 논한 장계이다.
이 밖에도 「경란록(經亂錄)」에는 병자호란의 경위 어가(御駕)가 수원·광주 등지로 몽진하는 과정에서 있었던 여러 가지 사건들이 소상히 기술되어 있어 사료로서의 가치가 있다.
안동김씨대종중
휴암공(상준)파
광욱(光煜)
자(字)회이(晦而)
호(號)죽소(竹所)
시호(諡號)문정(文貞)으로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묻기를 좋아함(勤學好問) 을 문(
文) 이라 하고 맑고 곧으며 절개를 지킴(淸白守節) 을 정(貞) 이라 한
다.
생(生)1580년 경진(庚辰) 09월 07일
관직(官職)병오(丙午)진사(進士)
병오(丙午)문과(文科)
한원(翰苑)
제학(提學)
빈객(賓客)
기사(耆社)
좌참찬(左叅贊)
저서(著書)죽소집(竹所集)
졸(卒)1656년 병신(丙申) 04월 24일
배(配)정경부인(貞敬夫人)전주이씨(全州李氏)
생(生)1580년 경진(庚辰) 월 일
졸(卒)1658년 무술(戊戌) 07월 12일
묘(墓)서윤공조(庶尹公兆) 오른쪽
 묘지는 재종질(再從侄) 영의정(領議政) 수흥(壽興)이 짓고 재종질(再從侄
 ) 영의정(領議政) 수항(壽恒)이 썼다. 묘표는 스스로 명(銘)을 하였고
  수항(壽恒)이 썼다
경좌(庚坐) 합폄(合窆)
 부(父)찬성(贊成) 직언(直彦)
 조(祖)호군(護軍) 형(詗)
 증조(曾祖)정준(正璿)
 외조(外祖)진사(進士) 우사겸(禹思謙) 본(本) 단양(丹陽)

Warning: mysql_fetch_array(): supplied argument is not a valid MySQL result resource in /home/andong/www/vksrhks/php/person.php on line 562
13 세14 세15 세16 세17 세
생해(生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