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의정(右議政)  김이교(金履喬)


자는 공세(公世) 호는 죽리(竹里). 할아버지는 대사간 김시찬(金時粲)이고 아버지는 관찰사 김방행(金方行)이며 어머니는 심황(沈鐄)의 딸이다. 동생이 김이재(金履載)다.

1789년(정조 13)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검열·수찬(修撰)·초계문신(抄啓文臣)·북평사(北評事)를 거쳐 1800년 겸문학(兼文學)이 되었다.같은 해 6월 순조가 즉위하고 대왕대비 김씨(영조의 계비)가 수렴청정을 하면서 노론 벽파(僻派)가 정권을 잡고 시파(時派)를 탄압하였다.

이 때 시파로서 벽파에 의해 함경북도 명천에 유배당하고 동생 이재(履載)도 전라남도 고금도에 안치되었다.1806년(순조 6) 부사과(副司果)의 직첩을 환수받고 동부승지·이조참의·강원도관찰사를 역임하였다.

1810년 10월 10일 일본 통신사에 임명되었으나 같은 해 12월 호조판서 심상규(沈象圭)를 탄핵하다가 일단 체포되고 통신사도 교체되었다. 그러나 같은 달 16일에 다시 통신사로 재임명되었다.1811년 2월 12일 통신사의 사명을 띠고 출발해 5월 22일 부사(副使) 이면구(李勉求)와 함께 대마도부중(對馬島府中)의 객관(客館)에서 동무상사(東武上使) 미나모토[源忠岡]와 부사 후지야스[藤安薰]에게 국서전명(國書傳命)을 거행하고 공사예단(公私禮單)을 전달하였다.사명을 다하고 같은 해 7월 3일 대마도를 떠나 부산에 도착했고 7월 26일에 왕에게 보고서를 올렸다. 이 통신사가 조선의 마지막 통신사였다.

이듬해에도 대마도에 건너가서 국서를 전달하였다.그 뒤 대사성·대사헌·도승지·한성부판윤 등을 거쳐 이조판서·평안도관찰사·병조판서·형조판서·공조판서·예조판서·이조판서·대제학등을 역임하였다.1831년 우의정에 올랐는데 이 때 영의정과 좌의정이 모두 공석이어서 한 때 국정을 도맡아 수행하였다.
글씨를 잘 썼다.
순조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저서에 『죽리집(竹里集)』이 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안동김씨대종중
문충공(상용)파
이교(履喬)
자(字)공세(公世)
호(號)죽리(竹里)
시호(諡號)문정(文貞)으로 충성스럽고 미더우며 예로써 대함을 문(文)이라 하고(忠信
接禮) 맑고 곧으며 자기를 지킴을 정(貞)이라 한다(淸白自守)
생(生)1764년 갑신(甲申) 10월 19일
관직(官職)기유(己酉)문과(文科)
한각(翰閣)
전문형(典文衡)
우의정(右議政)
저서(著書)죽리집(竹里集)
졸(卒)1832년 임진(壬辰) 07월 30일
배(配)정경부인(貞敬夫人)함종어씨(咸從魚氏)
생(生)1764년 갑신(甲申) 월 일
졸(卒)1834년 갑오(甲午) 06월 26일
묘(墓)대흥(大興) 금곡(金谷)
자좌(子坐) 합폄(合窆)
 부(父)판서(判書) 석정(錫定)
 조(祖)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함원부원군(咸原府院君) 유구(有龜)
 증조(曾祖)우윤(右尹) 사형(史衡)
 외조(外祖)목사(牧使) 증(贈)찬성(贊成) 심규(沈鍷) 본(本) 청송(靑松)

Warning: mysql_fetch_array(): supplied argument is not a valid MySQL result resource in /home/andong/www/vksrhks/php/person.php on line 562
18 세19 세20 세21 세22 세
성도(盛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