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유형문화재 213호 정면 3칸, 측면 2칸의 겹처마 팔작지붕건물. 1495년(연산군 1)에 건립하였는데 안마당에 거북모양의 돌이 세 개가 있어 삼구정이라 하였으며, 어머님이 오래 사시기를 기원하는 뜻이 담겼다고 한다. 서측 흙돌담에 둔 일각대문을 들어서면 동남향하여 본 건물이 있고, 그 앞 좌측으로 삼귀석(三龜石)이 있다. 바닥은 우물마루로 깔고, 벽체 없이 개방하였다.비교적 큰 잡석으로 기단을 쌓았고, 초석은 자연석을 사용하였으며, 기둥은 원주를 사용하였다. 조선 초기에 건립된 정자건축으로 오랜 세월을 지나면서 세부구조양식이 다소 변형되었지만, 당시의 배치·평면구성·건물규모 등이 변함없이 유지되고 있는 정자건축이다. 삼구정기(三龜亭記)는 3남 김영균(金永鈞)이 성현(成俔)에게 부탁하여 1496년에 지은것으로 목판으로 삼구정에 걸여있다.
진사 김세경씨가 그의 고향 풍산현에 있는 삼구정의 형상에 대한 기문을 나에게 부탁하였다.삼가 살피어 보건대 풍산은 안동도호부의 속현이다. 풍산현의 서쪽 5리쯤에 촌락이 있는데, 금산촌이라고 한다. 동쪽으로 이십 여보쯤의 거리에 봉우리를 동오라고 하는데 그 높이가 겨우 6,7 장이었다. 정자는 봉우리 꼭대기에 걸터앉았고, 동, 서 , 남으로 모두가 바다에 이르니 그의 형세가 앞이 탁 틔어 넓어서 바라봄에 끝이 없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