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제학(大提學)  김창협(金昌協)


경기도 과천 출신. 자는 중화(仲和) 호는 농암(農巖)·삼주(三洲). 좌의정 김상헌(金尙憲)의 증손자이고 영의정을 지낸 김창집(金昌集)의 아우이다. 아버지는 영의정 수항(金壽恒)이며 어머니는 안정 나씨(安定羅氏)로 해주목사 나성두(羅星斗)의 딸이다.

1669년(현종 10) 진사시에 합격하고 1682년(숙종 8) 증광문과에 전시장원으로 급제하여 전적에 출사하였다. 이어서 병조좌랑·사헌부지평·부교리 등을 거쳐 교리·이조좌랑·함경북도병마평사(咸鏡北道兵馬評事)·이조정랑·집의·동부승지·대사성·병조참지(兵曹參知)·예조참의·대사간 등을 역임하고 명에 의해 송시열(宋時烈)의 『주자대전차의(朱子大全箚疑)』를 교정하였다.

청풍부사로 있을 때 기사환국으로 아버지가 진도에서 사사되자 사직하고 영평(永平)에 은거하였다. 1694년 갑술옥사 이후 아버지가 신원됨에 따라 호조참의·예조참판·홍문관제학·이조참판·대제학·예조판서·세자우부빈객·지돈녕부사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직하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김창협은 학문적으로는 이황(李滉)과 이이(李珥)의 설을 절충하였다. 사단(四端)은 선(善)뿐이고 칠정(七情)은 선과 악을 겸했으니 사단은 오로지 이(理)만 뜻하고 칠정은 기(氣)를 겸한 것이다.라는 이이의 설에 대해 다만 기까지 겸하였다는 한 구절에서 차이를 보인다. 칠정이 비록 이와 기를 겸했더라도 그 선한 것은 기가 능히 이를 따랐음이요 그 선하지 않은 것은 기가 능히 이를 따르지 않은 것이니 처음부터 기가 주된 것이다.라고 하여 이이의 기발이승설(氣發理乘說)을 지지하였다.

김창협은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에서도 기의 맑은 것은 모두 선하지만 선한 정(情)이 모두 맑은 기에서 나왔다 함은 옳지 않으며 정의 악한 것이 탁(濁)한 기에서 나왔지만 탁한 기가 발(發)해 된 정이 모두 악하다고 할 수는 없다.라고 말한다. 또한 김창협은 인심의 동(動)함에 이가 비록 기에 탔어도 기가 또한 이의 명령을 듣는 것이다. 만약 선악의 정을 모두 기의 청탁에 돌린다면 이의 실체와 성(性)의 선함을 보지 못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성악론변(性惡論辨)」에서 김창협은 사람의 성은 본래 선한 것이나 순경(荀卿)이 인성을 악하다고 말한 것은 기요 성이 아니다. 대체로 사람이 세상에 날 때 기는 질(質)이 되고 이는 성이 되는 것인데 이에는 선만 있고 악이 없으나 기에는 선한 것도 있고 선하지 못한 것도 있으니 사람에게 선하지 못함이 있음은 기의 소위이다.라고 규정하였다.

김창협의 문장은 단아하고 순수하여 구양수(歐陽修)의 정수를 얻었으며 김창협의 시는 두보(杜甫)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대로 모방하지 않고 고상한 시풍을 이루었다. 특히 문장에 능하고 글씨도 잘 써서 「문정공이단상비(文貞公李端相碑)」·「감사이만웅비(監司李萬雄碑)」·「김숭겸표(金崇謙表)」·「김명원신도비전액(金命元神道碑篆額)」 등의 작품을 남겼다.

저서로는 『농암집(農巖集)』·『주자대전차의문목(朱子大全箚疑問目)』·『논어상설(論語詳說)』·『오자수언(五子粹言)』·『이가시선(二家詩選)』 등이 있고 편저로는 『강도충렬록(江都忠烈錄)』·『문곡연보(文谷年譜)』 등이 있다.

숙종의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양주의 석실서원(石室書院) 영암의 녹동서원(鹿洞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문과] 현종(顯宗) 10년(1669) 기유(己酉)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44위(74/100)


농암집(農巖集)

저자 : 문정공(상헌)파  창협(昌協)

생(生) : 1651.01.02

졸(卒) : 1708..

기유(己酉)진사(進士) 임술(壬戌)문과(文科) 전문형(典文衡) 예조(禮曹)판서(判書) 

조선후기 문신·학자 김창협의 시·소·서(書)·기 등을 수록한 시문집.
42권 15책. 활자본. 부록 2권을 포함한 원집 36권 속집 2권 별집 4권으로 되어 있다.
이 책은 여러 차례 증보 간행되었다.
원집 34권은 김창협이 사망한 다음해인 1709년(숙종 35)에 문인 김시좌(金時佐) 등이 그 유문을 수집하고 1710년에 아우 창흡(昌翕) 등이 활자로 출간한 것이다. 김창흡의 서(序)가 있다.부록 2권은 1754년(영조 30)에 손자 원행(元行)이 편찬하였다.
이것을 안동부사 조돈(趙暾)이 원집과 합쳐 중간하였다. 이 중간본은 36권 18책 목판본이다.
원집의 김창흡의 서와 원행의 발이 있다.속집 2권에는 원집에 편입되지 않은 선부군행장(先府君行狀) 및 사단칠정설(四端七情說) 등 김수근(金洙根)이 수습한 중요한 글들이 실려있다.
1854년(철종 5)에 금속활자로 간행하였다. 속집은 원집과 합편한 것으로 김수근의 속집발(續集跋)이 추가되었다.별집 4권은 김영한(金寗漢)이 서상춘(徐相春)과 합력하여 원속집에서 빠진 그 밖의 유문을 수합한 것이다. 42권 15책으로 1868년(고종 5)에 간행하였는데 김영한의 중간발이 덧붙었다.
원집 권1∼6에는 부 4수 시 770여수 권7∼9에는 소·차(箚) 60여편
권10에는 계(啓) 1편 의(議) 1편 강의 2편
권11∼20에는 서(書) 275편
권21·22에는 서(序) 38편
권23·24에는 기 22편
권25에는 제(題)·발 16편 교서 2편 전장(箋狀) 2편 상량문 2편 찬(讚)·명(銘) 4편 축사 1편 혼서(昏書) 1편
권26에는 잡저 1편 권27에는 묘지명 18편
권28에는 신도비명 1편 묘갈명 2편 묘표 6편 행장 2편
권29·30에는 제문 12편 애사 6편
권31∼34에는 잡지가 실려 있다.속집 권1·2에는 행장·서(書)·묘지·설 각 1편이 실려 있다.
별집 권1에는 시 2수 서(書) 9편 서(序)·제문·행록·시책(試策) 각 1편이 있다.
권2∼4에는 부록으로 사제문·제문·어록이 실려 있다.이 가운데 「논퇴율양선생사단칠정설 論退栗兩先生四端七情說」에서는 이황(李滉)과 이이(李珥)가 아직 밝히지 못한 것을 천명하였다.즉 단(端)과 정(情)이 다같이 성(性)의 발동인 이상 이(理)와 기(氣)가 공발(共發)인 것은 이이의 뜻에 찬동하나 사단은 이를 주(主)하여 명언(名言)하고 칠정은 기를 주하여 명언하는 것은 이황의 의견이 옳다고 하였다.
원집 권7에 실려 있는 「관학청백관상복일종고례소 館學請百官喪服一從古禮疏」 등 일련의 상소문은 서인과 남인 사이에 있었던 예송문제(禮訟問題)의 연구자료로서 매우 값진 것이다.
권8의 「사호조참의소 辭戶曹參議疏」는 그의 문장력을 과시한 명문으로 널리 알려져 온 것이다.
속집 권2에 붙인 「사단칠정설」은 그의 이학체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논설이 되고 있다.
원집 권25 잡저의 「동음대 洞陰對」는 영평에서 은거할 때 지은 것이다. 그의 기개가 잘 나타나 있는 글이다. 여기서 그는 호환이 두렵다 하나 인간 세상에는 이보다 더 무서운 일이 얼마든지 있음을 비유하여 유음(幽陰)에 숨어 사는 자신의 뜻을 완곡하게 설명하고 있다.
뒷날 갑술환국으로 김수항(金壽恒)이 복권되고 작자에게 예조판서·대제학 등의 벼슬이 내려졌으나 끝내 부름에 응하지 않았다.
권34 잡지 외편에 있는 각가시문(各家詩文)에 대한 비평은 저자의 고문파 문장가로서 탁월한 문학비평가로서의 식견을 후인에게 재인식시키는 좋은 자료이다.
우리 나라 문학비평사에 있어 그 자료사적 의미는 매우 크다.명인과 송인의 시학에서부터 고려시대의 이색(李穡)·이규보(李奎報) 당대의 한학사대가인 장유(張維)·이정구(李廷龜)·이식(李植)·신흠(申欽)에 이르기까지 비평하였다.
그의 수준 높은 감식안을 보여주고 있다. 1980년 경문사에서 『농암전집』으로 영인 간행하였다.
안동김씨대종중
문정공(상헌)파
창협(昌協)
자(字)중화(仲和)
호(號)농암(農巖)
시호(諡號)문간(文簡)으로 도덕이있고 널리 들은 것이많음을(道德博聞) 문(文)이라
하고 순일한 덕으로 느슨함이 없음을(一德不懈) 간(簡)이라 한다
생(生)1651년 신묘(辛卯) 01월 02일
관직(官職)기유(己酉)진사(進士)
임술(壬戌)문과(文科)
전문형(典文衡)
예조(禮曹)판서(判書)
저서(著書)농암집(農巖集) 주자대전차의문목(朱子大全箚疑問目) 논어상설(論語詳說) 오
 자수언(五子粹言) 이가시선(二家詩選)
 숙종의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양주의 석실서원(石室書院) 영암의 녹동서원(鹿
 洞書院)에 제향되었다.
졸(卒)1708년 무자(戊子) 월 일
배(配)정부인(貞夫人)연안이씨(延安李氏)
생(生)1651년 신묘(辛卯) 월 일
졸(卒)1708년 무자(戊子) 12월 01일
묘(墓)남양주시(南楊州市) 와부읍(瓦阜邑) 덕소리(德沼里) 석실(石室) 선조(先
 兆) 아래
 묘지(誌) 및 묘표(表)는 동생 창흡(昌翕)이 짓고 음기(陰記)는 해창위
 (海昌尉) 오태주(吳泰周)가 썼다
경좌(庚坐) 합폄(合窆)
 부(父)문정공(文貞公) 단상(端相)
 조(祖)문형(文衡) 명한(明漢)
 증조(曾祖)좌의정(左議政) 정구(廷龜)
 외조(外祖)우의정(右議政) 이행원(李行遠) 본(本) 전의(全義)

Warning: mysql_fetch_array(): supplied argument is not a valid MySQL result resource in /home/andong/www/vksrhks/php/person.php on line 562
15 세16 세17 세18 세19 세
상헌(尙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