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가재(老稼齋)  김창업(金昌業)


자는 대유(大有) 호는 가재(稼齋) 또는 노가재(老稼齋). 17세기에 활약한 노론의 정치가이며 유학자인 김수항(金壽恒)의 넷째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김창협(金昌協) 김창흡(金昌翕) 등 형들과 함께 학문을 익혔다. 특히 시에 뛰어나 후에 김만중(金萬重)으로부터 칭찬을 받았다. 1681년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한양의 동교송계(東郊松溪)에 은거하였다.

1689년에 기사사화가 일어나자 포천에 있는 영평산(永平山) 속에 들어가 숨어살다가 1694년 정국이 노론파에 유리하게 되자 다시 송계로 나왔다. 이 때 나라에서 내시교관(內侍敎官)이라는 벼슬자리를 주려고 하였다. 그러나 응하지 않았고 스스로 노가재라 부르며 세상일을 멀리하였다. 그리고 향리에 사창(社倉)을 설치하고 거문고와 시 짓기를 즐기면서 사냥으로 낙을 삼았다.

중국 산천을 보지 못한 것을 늘 아쉽게 여기다가 1712년 연행정사(燕行正使)인 김창집(金昌集)을 따라 북경(北京)에 다녀왔다. 이 때 보고 들은 것을 모아 『노가재연행록稼齋燕行錄)』을 펴내었다. 이 책은 중국의 산천과 풍속 문물제도와 이때 만난 중국의 유생 도류(道流)들과의 대화를 상세히 기록하여 역대 연행록 중에서 가장 뛰어난 책으로 손꼽힌다.

어려서부터 그림에 재주가 있어 젊어서도 그림 그리기를 즐겼으므로 아버지로부터 그림에 마음을 빼앗겨 학업에 방해가 될까 걱정이니 손을 떼라는 충고를 받았다.현존하는 그의 그림 「추강만박도(秋江晩泊圖)」(간송미술관 소장)나 그가 밑그림을 그린 제천 황강영당 구장의 「우암송선생칠십사세진」같은 작품으로 보아 그림 솜씨가 상당한 수준이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그의 그림에 대한 취향은 서자인 김윤겸(金允謙)에게 이어져 조선 후기에 유행한 실경산수화(實景山水畵)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문과] 숙종(肅宗) 7년(1681) 신유(辛酉)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21위


노가재집(老稼齋集)

저자 : 문정공(상헌)파  창업(昌業)

생(生) : 1658.02.02

졸(卒) : 1721.12.12

신유(辛酉)진사(進士) 동몽교관(童蒙敎官) 증(贈)이조(吏曹)참의(叅議) 

조선후기 학자 김창업의 시 「춘일감회」·「기각산사승병서」등을 수록하여 1820년에 간행한 시집.
5권 3책. 목활자본. 족질 시보(時保)가 편집하여 둔 것을 1820년(순조 20) 현손 조순(祖淳)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순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시보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5에 시 947수 권말에 발문·묘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발문에서 “맑고 건장한 뜻을 자세히 묘사하였고 세상을 바라보는 데에는 긴 칼을 휘두르듯 장쾌함이 있다.”고 묘사하였다.
특히 금강산 마하연(摩訶衍)에 대한 시와 보덕굴(普德窟)에 대한 시는 금강산의 기묘한 경치를 배경으로 작자의 감정을 잘 나타내고 있다.「춘일감회(春日感懷)」는 봄날에 일어나는 장안 거리의 상황과 나라에서 내린 금주(禁酒)에 대한 명령 때문에 많은 돈을 주고도 술을 살 수 없어 안타까워하는 주객들의 심정을 잘 묘사하고 있다. 그밖에도 산행(山杏)·단풍·소나무·목련·해당(海棠)·장미 등 영물시(咏物詩) 30여수는 그의 역작으로 영물시의 난점을 잘 처리하여 시재를 충분히 발휘하고 있다.
「기각산사승병서(寄角山寺僧倂序)」는 당시 유학자들이 승려들과 교유하는 것을 꺼리는 풍토에 아랑곳하지 않고 삼각산의 승려와 허심탄회하게 인생과 학문을 논하면서 깊이 사귄 그의 일면을 잘 나타내고 있다.
도잠(陶潛)을 사모하여 그를 인용한 시구가 많고 그것을 직접 실천하여 전원의 생활을 즐기면서 읊은 시가 많다. 그의 형 창협(昌協)은 그의 시를 평하여 높은 뜻과 사물을 자세히 보는 눈이 있으며 늙어서는 더욱 깊은 조화를 보였다고 하였다.
안동김씨대종중
문정공(상헌)파
창업(昌業)
자(字)대유(大有)
호(號)노가재(老稼齋)
생(生)1658년 무술(戊戌) 02월 02일
관직(官職)신유(辛酉)진사(進士)
동몽교관(童蒙敎官)
증(贈)이조(吏曹)참의(叅議)
저서(著書)노가재집(老稼齋集) 노가재연행록稼齋燕行錄)
 그림 「추강만박도(秋江晩泊圖)」(간송미술관 소장)나 그가 밑그림을 그린
 제천 황강영당 구장의 「우암송선생칠십사세진」같은 작품으로 보아 그림 솜씨
 가 상당한 수준이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그의 그림에 대한 취향은 서자인
  김윤겸(金允謙)에게 이어져 조선 후기에 유행한 실경산수화(實景山水畵)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졸(卒)1721년 신축(辛丑) 12월 12일
배(配)증(贈)숙부인(淑夫人)완산이씨(完山李氏)
생(生)1656년 병신(丙申) 월 일
졸(卒)1693년 계유(癸酉) 02월 28일
묘(墓)장단 하서면 강연리(江漣里) 광대곡(廣大谷) -- 휴전선 일대로 폐지된
 행정구역. 민간인 출입 통제 구역
 아들 신겸(信謙)이 묘표(表)를 짓고 부인(夫人) 묘지(誌)는 농암공(農
 岩公)이 지었다
자좌(子坐) 합폄(合窆)
 부(父)익풍군(益豐君) 속(涑)
 조(祖)양녕군(陽寧君) 경(儆)
 증조(曾祖)임해군(臨海君) 진(珒)
 외조(外祖)군수(郡守) 조시형(趙時馨) 본(本) 임천(林川)

Warning: mysql_fetch_array(): supplied argument is not a valid MySQL result resource in /home/andong/www/vksrhks/php/person.php on line 562
15 세16 세17 세18 세19 세
상헌(尙憲)